안구건조증 정밀검사
Woori Ophthalmic Introduction
안구건조증 정밀검사 (Keratograph 5M)
마이봄선 검사(Meibo-Scan)
마이봄샘은 눈물막의 지방층을 형성하는 마이붐을 분비하는 피지샘입니다. 마이봄샘에 의해 형성된
지질층은 눈물막의 과도한 증발을 막고 눈물막의 안정성을 유지시킴으로써 눈물막을 유지하는데 큰
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.
마이봄선의 형태 및 손상 정도 검사하며 마이봄선의 형태에 따라 0~3 단계로 나누어 진단하며
마이봄선의 형태가 뚜렷하고 개수가 많이 보일수록 건강한 것입니다.
눈물막 지질층 두께검사(Lipid Layer Examination)
빛의 간섭 패턴을 분석하여 지질층의 두께와 구조를 측정합니다.
눈물막 중 가장 바깥쪽에 있는 막인 지방층은 눈물이 증발되는 것을 막고 눈물막 안정성을
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.
지질층이 두꺼운 경우 반사되는 색깔이 무지갯빛으로 여러 가지 색깔이 보이며,
지질층의 얇은 경우 반사되는 색깔이 흰색으로 보입니다.
눈물막 파괴분석검사(Non-Invasive Keratograph Break-Up Time)
모든 건성안 환자에서 눈물막의 안정성이 감소되어 있는데, 눈물막 파괴 시간 검사로 평가합니다.
눈물막의 각 부분별로 손상된 정보를 보여주며, 시간의 진행에 따라 눈물막의 파괴 부분을 표현하여
최종결과를 정량적으로 보여줍니다. 눈물막 파괴 시간이 짧을수록 건성안 확률이 높습니다.
결막충혈정도 검사(R–scan)
OCULUS_Keratograph을 이용하여 결막의 충혈 정도 측정합니다.
bulbar, limbal 부위의 충혈도에 따라 자동으로 0(정상)~ 4 단계까지 분류할 수 있습니다.
안구건조증의 치료
안구건조증 IPL 광선치료
Woori Ophthalmic Introduction
루메니스 IPL M22
안구건조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원인은 마이봄샘 기능장애 (MGD)입니다.
우리의 눈에는 눈물의 증발을 막아주는 기름을 분비하는 마이봄샘이라는 기관이 있는데,
이 기관이 정상적인 기름을 배출하지 못하면 눈물이 빠르게 증발하게 되고, 표면의 염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이러한 마이봄샘 기능장애로 인한 안구건조증을 치료하기 위해 IPL을 통해 치료하고 있습니다.
루메니스 IPL M2의 경우 OPT 방식을 통해 균일한 에너지를 조사하여 시술 중에 느낄 수 있는 불편감과 조직 손상은 줄이고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였습니다.
2주 간격으로 4회의 시술을 통해 89%의 안구건조증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습니다.